DELETE 방식의 이해 및 실습
💡 학습 목표 1. @DeleteMapping 이해 2. @PathVariable 사용 3. @RequestParam 사용1. 예제package com.tenco.demo_v1.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DeleteMapping;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athVariable;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
- Spring Boot/Blog 프로젝트 만들기(JPA)
- · 2024. 9. 27.
PUT 방식의 이해 및 실습
💡 학습 목표 1. PUT 방식에 이해 및 실습 2. DTO 만들어 보기1. PUT 방식이란? PUT 방식은 HTTP 메서드 중 하나로, 리소스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할 때 사용됩니다. 주로 RESTful API에서 특정 리소스를 완전히 대체하거나 수정할 때 사용됩니다.2. 주요 특징전체 업데이트:PUT 요청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특정 리소스의 전체 데이터를 보내 해당 리소스를 완전히 대체하거나 새로 생성하는 요청이다. 즉, 리소스의 일부가 아닌 전체 데이터를 전송하여 갱신한다.멱등성:PUT 요청은 멱등성을 가진다. 즉, 동일한 요청을 여러 번 보내도 결과가 동일하다. 예를 들어, 동일한 데이터를 PUT 요청으로 여러 번 보내도 리소스 상태는 변하지 않는다.리소스 식별:PUT 요청은 URL을..
- Spring Boot/Blog 프로젝트 만들기(JPA)
- · 2024. 9. 27.
POST 방식 이해 및 실습
목차💡 학습 목표 1. JSON 이해 2. POST 주소 맵핑, @RequestBody를 Map 구조로 설정 3. JSON 형식을 만들고 POST 방식으로 데이터 보내기 4. DTO 만들어서 사용해보기 5. @JsonProperty 사용해 보기 ● 스네이크 케이스와 카멜케이스 구분1. 예제💡 JSON 데이터 타입 확인문자열 ("name": "John") 숫자 ("age": 30) 불리언 ("isStudent": false) 객체 ("address": { "city": "New York", "zipCode": "10001" }) 배열 ("hobbies": ["reading", "traveling", "swimming"])null ("middleName"..
- Spring Boot/Blog 프로젝트 만들기(JPA)
- · 2024. 9. 26.
GET 방식과 URL 주소 설계
목차💡 학습 목표 REST API 기반으로 주소 맵핑 처리 1. GET 방식에 주소 맵핑 2. 클라언트에서 보낸 값을 받는 방식에 이해 응답에 이해 3. Path Variable 방식으로 값을 보내거나 받는 방식에 이해 4. Query Parameter 방식으로 값을 받는 방법 이해 key=value 구조 데이터 파싱 처리 Map 사용 방식 구조 처리 Dto 객체를 만들어서 처리1. 멱등성이란?멱등성(Idempotency)이란 같은 작업을 여러 번 수행해도 결과가 달라지지 않는 성질을 의미한다.이 개념은 특히 HTTP 메서드나 데이터베이스 연산에서 자주 사용된다. 멱등성을 가짐 (GET, PUT, DELETE )비 멱등성을 가짐 ..
- Spring Boot/Blog 프로젝트 만들기(JPA)
- · 2024. 9.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