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 시스템운영체제는 데이터를 단순히 저장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저장된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체계가 필요한데, 이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파일 시스템(File System) 이다. 파일 시스템은 저장 장치 위에 구축되어 사용자가 파일을 읽고 쓰고 지울 수 있도록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파일 시스템은 파일의 생성, 저장, 검색, 삭제, 갱신 등 모든 파일 관리 작업을 담당하는 시스템 소프트웨어다. 또한 디스크에 저장된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관리하며, 각 파일이 어떤 블록에 저장되어 있는지 추적하는 메타데이터도 함께 유지한다.파일 시스템의 계층적 구조현대적인 파일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계층 구조를 따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가 명령어 또는 GU..
FIFO, LRU, OPT운영체제에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은 한정된 메모리 프레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프로세스가 필요한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으면 **페이지 폴트(page fault)**가 발생하고, 기존 페이지 중 하나를 제거하고 새로운 페이지를 적재해야 한다. 이때 어떤 페이지를 제거할지를 결정하는 방식이 바로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이다.대표적인 알고리즘으로는 FIFO, LRU, OPT가 있다. 각 알고리즘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FIFO (First-In First-Out)가장 먼저 메모리에 올라온 페이지를 가장 먼저 제거한다. 구현이 단순하지만 실제 성능은 좋지 않을 수 있다.LRU (Least Recently Used)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제거한다. 최근 사용 정..
AWS EC2 Auto Scaling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서비스 트래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트래픽이 급증할 때 자동으로 인스턴스를 늘리고, 반대로 감소할 때 자원을 줄일 수 있다면 비용 절감과 안정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자동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AWS EC2 Auto Scaling이다. EC2 Auto Scaling은 사용자의 정의에 따라 EC2 인스턴스 수를 자동으로 늘리거나 줄이는 AWS의 관리형 서비스이다. 트래픽 변화에 따라 서버 수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과도한 리소스 사용을 방지하고, 동시에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할 수 있다. 목적트래픽 변화에 따른 EC2 인스턴스 수 자동 조정핵심 기능자동 확장(Scale Out), 자동 축소(Scale In), 헬스 ..
클라우드클라우드는 현대 IT 인프라의 근간이 되는 기술로, 사용자가 물리적인 서버나 스토리지를 직접 소유하거나 관리하지 않고,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만큼의 자원을 빌려 쓰는 방식이다. 아마존 웹 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과 같은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컴퓨팅, 저장소, 네트워크 등의 인프라를 온디맨드 방식으로 제공한다.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확장성과 가용성클라우드 환경은 전통적인 온프레미스 환경에 비해 확장성과 가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 확장성 (Scalability)시스템의 처리 능력을 필요에 따라 증가시키거나 줄일 수 있는 능력. 수평적(인스턴스 추가) 또는 수직적(사양 증가) 확장이 가능하다.가용성 (Availability)시스..
왜 확장성과 가용성이 함께 고려되어야 하는가?서비스가 성장함에 따라 사용자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시스템은 다양한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이때 핵심이 되는 두 가지 개념이 확장성과 가용성이다.확장성은 시스템이 증가하는 부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유연하게 확장될 수 있는 능력이다.가용성은 시스템이 장애 없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이 두 가지는 서로 별개의 개념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 서비스 아키텍처 설계 시에는 반드시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확장성만 고려한 경우부하에는 잘 견디지만, 단일 장애점(SPOF)이 존재할 수 있어 서비스가 중단될 위험이 있다가용성만 고려한 경우장애에는 강하지만,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에 대응하지..
가용성가용성이란?가용성(Availability)은 시스템이 사용자의 요청에 언제든지 응답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장애 없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율을 뜻한다. 예를 들어, 1년 중 1시간이라도 서비스가 중단되면 가용성은 낮아진다. 가용성 측정 기준가용성은 일반적으로 퍼센트(%) 단위로 측정되며, 전체 시간 중 시스템이 정상 동작한 시간의 비율로 계산된다. 다음은 가용성 수치와 실제 중단 시간이 일치하는 예시이다:가용성 수치1년 기준 중단 허용 시간99%약 3일 15시간99.9% (Three 9s)약 8시간 45분99.99% (Four 9s)약 52분99.999% (Five 9s)약 5분 15초 이러한 수치를 바탕으로 SLA(Service Level Agree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