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Git의 기초(2) 💡 학습 목표 1. 저장소를 만들고 설정하기 2. 파일을 추적, 그만두기 3. 변경 내용을 stage하고 커밋하기 4. 파일이나 파일 패턴을 무시 5. 실수를 빠르게 만회하기 6. 프로젝트 히스토리를 조회, 커밋을 비교하기 7. 리모트 저장소에 Push, Pull 2.3 커밋 히스토리 조회하기 $ git log $ git log commit ca82a6dff817ec66f44342007202690a93763949 (HEAD -> master, origin/master, origin/HEAD) Author: Scott Chacon Date: Mon Mar 17 21:52:11 2008 -0700 changed the verison number commit 085bb3bcb608e1..
2장 Git의 기초(1) 💡 학습 목표 1. 저장소를 만들고 설정하기 2. 파일을 추적, 그만두기 3. 변경 내용을 stage하고 커밋하기 4. 파일이나 파일 패턴을 무시 5. 실수를 빠르게 만회하기 6. 프로젝트 히스토리를 조회, 커밋을 비교하기 7. 리모트 저장소에 Push, Pull 2.1 Git 저장소 만들기 기존 프로젝트나 디렉터리를 Git 저장소로 만드는 방법 다른 서버에 있는 저장소를 Clone 하는 방법 기존 디렉터리를 Git 저장소로 만들기 프로젝트의 디렉터리로 이동해서 $ git init 명령 실행 .git이라는 하위 디렉터리를 만들고 여기에는 저장소에 필요한 뼈대 파일이 들어 있다. Git이 파일을 관리하게 하려면 저장소에 파일을 추가하고 커밋해야 한다. git add 명령으로 파일을..
1장 시작하기 💡 학습 목표 1. 버전 관리 도구에 대한 이해 2. Git 서버 설정, 사용 방법 1.1 버전 관리란? 버전 관리 시스템(VCS): 파일 변화를 시간에 따라 기록했다가 나중에 특정 시점의 버전을 다시 꺼내올 수 있는 시스템 로컬 버전 관리 디렉터리로 파일을 복사하는 방법을 많이 썼음 여러 문제로 인해 로컬 VCS를 만들어 파일의 변경 정보를 관리했음 RCS : 주로 쓰는 VCS 도구. 기본적으로 Patch Set(파일에서 변경되는 부분)을 관리한다. Patch Set은 특별한 형식의 파일로 저장. 일련의 Patch Set을 적용해서 모든 파일을 특정 시점으로 되돌릴 수 있다. 중앙집중식 버전 관리(CVCS) 다른 개발자와 함께 작업해야 하는 경우에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CVCS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