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ic 메소드(함수) - 13

static 메소드(함수) - 13

💡 학습 목표
    1. static 메소드의 개념을 알자.
    2. Method Area 와 heap 영역에 실행 시점의 이해

1. static 메소드의 개념을 알자.

  • static 메서드(함수)는 특정 클래스의 인스턴스에 속하지 않고 클래스 자체에 속한다. 따라서 객체를 생성하지 않고도 클래스 이름을 통해 직접적으로 호출할 수 있다. static 메서드는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가 공유하며, 주로 유틸리티 기능이나 공통 동작을 제공하는 데 사용.

주요 특징 정리

  • 객체 생성 없이 호출 가능
  • 인스턴스 변수에 접근 불가
    • static 메서드는 객체의 인스턴스 변수에 직접적으로 접근할 수 없다. 왜냐하면 static 메서드는 객체가 생성되기 전에 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해당 객체의 상태를 알 수 없기 때문.

시나리오 코드 1단계

package basic.ex13;

// 가지고 오다. 수입하다.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LottoNumberMaker {

	// 멤버 변수
	private String version = "1.0.0"; // major.minor.hotfix
	
	// 함수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makeNumber() + "\t");
		System.out.print(makeNumber() + "\t");
		System.out.print(makeNumber() + "\t");
		System.out.print(makeNumber() + "\t");
		System.out.print(makeNumber() + "\t");
		System.out.print(makeNumber() + "\t");
	}
	
	// 인스턴스에 속하지 않는 함수 만들기
	public static int makeNumber() {
		// static 함수안에 멤버 변수를 사용할 수 없다.
		// 메모리가 뜨는 순서 !!
//		System.out.println("ver : " + version);
		// 자바 도구 -- 표준 API
		// 난수 발생기 -> 랜덤적인 값을 생성
		Random random = new Random();
		// nextInt(int bound) : 0 ~ bound-1 범위의 난수 생성
		int resultNumber = random.nextInt(45) + 1; // 0 ~~~ 44
		return resultNumber;
	}
}

(https://docs.oracle.com/javase/8/docs/api/java/util/Random.html)

(java.util.Random 의 생성자, 메서드 확인가능)

package basic.ex13;

public class LottoGam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tatic 변수 --> 클래스 변수라고도 불린다.
		int gameNumber1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2 = LottoNumberMaker.makeNumber();
//		int gameNumber3 = LottoNumberMaker.makeNumber();
//		int gameNumber4 = LottoNumberMaker.makeNumber();
//		int gameNumber5 = LottoNumberMaker.makeNumber();
//		int gameNumber6 = LottoNumberMaker.makeNumber();
		
		System.out.println(gameNumber1 + "\t");
		System.out.println(gameNumber2 + "\t");
//		System.out.println(gameNumber3 + "\t");
//		System.out.println(gameNumber4 + "\t");
//		System.out.println(gameNumber5 + "\t");
//		System.out.println(gameNumber6 + "\t");
		// 오름차순으로 정렬해보기
		// 만약 1상자가 2상자보다 크다면 어떤 행동을 하라
		int tempBox = 0;
		if (gameNumber1 > gameNumber2) {
			tempBox = gameNumber2;
			gameNumber2  = gameNumber1;
			gameNumber1 = tempBox;
		}
		
		// 변수에 값을 담고 출력 하세요.
		System.out.print(gameNumber1 + "\t");
		System.out.print(gameNumber2 + "\t");
//		System.out.print(gameNumber3 + "\t");
//		System.out.print(gameNumber4 + "\t");
//		System.out.print(gameNumber5 + "\t");
//		System.out.print(gameNumber6 + "\t");
		
		
	} // end of main

}

위의 idea를 토대로 앞뒤로 한번씩만 비교하는 코드를 짜보면

package basic.ex13;

public class LottoGame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tatic 변수 --> 클래스 변수라고도 불린다. 
		
		int gameNumber1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2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3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4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5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6 = LottoNumberMaker.makeNumber();

		// 전체 1 ~ 6 까지 나온 결과값을 오름 차순으로 정렬 
		// 단, 중복 값은 무시! 
		
		// 수식을 작성해주세요
		// 만약 if --> 반복문 사용 금지 if문 6개로 구성해주세요
		// 
		int tempBox = 0;
		// 5, 1, 9, 7, 2, 3
		
		//   5         >     1  
		if(gameNumber1 > gameNumber2) {
			// 5 
			tempBox = gameNumber1;
			// 1      <--      1      
			gameNumber1 = gameNumber2;
			// 5      <--   5
			gameNumber2 = tempBox;
		}
		// 1, 5, 9, 7, 2, 3
		
		//     5       >     9   
		if(gameNumber2 > gameNumber3) {
			tempBox = gameNumber2;
			gameNumber2 = gameNumber3;
			gameNumber3 = tempBox;
		}
		
		
		// 1, 5, 9, 7, 2, 3
		
		//     9       >    7 
		if(gameNumber3 > gameNumber4) {
			// 9      <--     9 
			tempBox = gameNumber3;
			// 7       <---  7
			gameNumber3 = gameNumber4;
			// 9     <---  9 
			gameNumber4 = tempBox;
		}
		
		// 1, 5, 7, 9, 2, 3
			
		//    9              2
		if(gameNumber4 > gameNumber5) {
			// 9    <---  9
			tempBox = gameNumber4;
			// 2      <--  2
			gameNumber4 = gameNumber5;
			// 2      <--  9 
			gameNumber5 = tempBox;
		}
		
		// 1, 5, 7, 2, 9, 3
		
		//   9         >      3  
		if(gameNumber5 > gameNumber6) {
			// 9   <--   9
			tempBox = gameNumber5;
			// 3     <--    3
			gameNumber5 = gameNumber6;
			// 9     <---  9
			gameNumber6 = tempBox;
		}
		
		// 1, 5, 7, 2, 3, 9
		System.out.println(gameNumber1);
		System.out.println(gameNumber2);
		System.out.println(gameNumber3);
		System.out.println(gameNumber4);
		System.out.println(gameNumber5);
		System.out.println(gameNumber6);
		
		
	} // end of main 
}

 

즉, 6개의 숫자중 가장 큰 숫자가 6번 자리에 위치하게된다.

따라서 이 과정을 계속 반복하게 되면,

두번째로 큰 숫자가 5번자리, 그다음 숫자가 4번, 그다음 3번 그다음 2번 자리로 가서 정렬이된다.

package basic.ex13;

public class LottoGame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static 변수 --> 클래스 변수라고도 불린다.

		int gameNumber1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2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3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4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5 = LottoNumberMaker.makeNumber();
		int gameNumber6 = LottoNumberMaker.makeNumber();
		System.out.print(gameNumber1 + " ");
		System.out.print(gameNumber2 + " ");
		System.out.print(gameNumber3 + " ");
		System.out.print(gameNumber4 + " ");
		System.out.print(gameNumber5 + " ");
		System.out.println(gameNumber6 + " ");

		int tempBox = 0;

		for (int i = 0; i < 6; i++) {
			if (gameNumber1 > gameNumber2) {
				tempBox = gameNumber1;
				gameNumber1 = gameNumber2;
				gameNumber2 = tempBox;
			}

			if (gameNumber2 > gameNumber3) {
				tempBox = gameNumber2;
				gameNumber2 = gameNumber3;
				gameNumber3 = tempBox;
			}

			if (gameNumber3 > gameNumber4) {
				tempBox = gameNumber3;
				gameNumber3 = gameNumber4;
				gameNumber4 = tempBox;
			}

			if (gameNumber4 > gameNumber5) {
				tempBox = gameNumber4;
				gameNumber4 = gameNumber5;
				gameNumber5 = tempBox;
			}

			if (gameNumber5 > gameNumber6) {
				tempBox = gameNumber5;
				gameNumber5 = gameNumber6;
				gameNumber6 = tempBox;
			}
		}

		System.out.println(gameNumber1);
		System.out.println(gameNumber2);
		System.out.println(gameNumber3);
		System.out.println(gameNumber4);
		System.out.println(gameNumber5);
		System.out.println(gameNumber6);

	} // end of main
}

Java 객체지향 핵심 - 2 으로 돌아가기

 

'Java > Java 객체 지향 핵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열 활용(도서 관리 프로그램) - 15  (0) 2024.04.22
배열에 대해 알아 보자 - 14  (0) 2024.04.22
팀 프로젝트 연습 fantasy  (0) 2024.04.18
static 변수 - 12  (0) 2024.04.18
ver 0.0.1 Starcraft - 11  (0) 2024.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