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타입(정수형) - 4

데이터 타입(정수형) - 4

💡 학습 목표
    1. 데이터 타입(Data type)이란 뭘까?
    2. 정수형과 상자의 크기?

 

1. 데이터 타입이란 뭘까?

  • 자바에서 데이터 타입(자료형, Data type)은 어떤 값의 유형을 뜻한다. 데이터 타입에 따라 값이 차지하는 메모리 공간의 크기와, 값이 저장되는 방식이 결정된다. 데이터 타입은 자료형이라고도 한다.
  • 변수 상자의 유형이다 라고 생각해 보자.

: 상자에 유형을 먼저 정해 놓고 거기에 맞춰서 옷을 담을 수 있도록 규칙을 만들어 보자.

  • 자바 언어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타입들

가려진 부분 char

2. 정수형과 상자의 크기?

  • 어떠한 데이터를 저장해 두거나 연산 시켜 결과를 담아 두고 싶다면 메모리 공간을 어딘가에 만들어 두어야 한다.

code DataType1

package basic.ch01;

/**
 * 데이터 타입이란
 * 상자에 들어 갈 수 있는 값의 유형과 크기를 지정하는 것
 */
public class DataType1 {

	// 코드의 시작점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데이터 타입의 종류
		// 1. 기본 자료형 (prinitive data type)
		// 2. 참조 타입 (Reference type)
		
		
		// 기본 자료형
		// [정수형, 문자형, 실수형, 논리형]
		
		// 정수형 - 정수는 소수점 이하를 포함하지 않는 숫자를 의미 합니다.
		// 1, 2, -5, 100 등은 모두 정수 입니다.
		
		byte byteBox;		// 1바이트 -> 네모칸 한칸은 1bit --> 8bit --> 1byte;
		short shortBox;		// 2바이트 -> 16bit -> 2byte
		int intBox;			// 4바이트 -> 32bit
		long longBox;		// 8바이트 -> 64bit
		
		
		// 위 상자들은 정수값을 담을 수 있는 상자인데 크기가 정해져 있다.
		byteBox = -128;
		byteBox = 127; // 
		
		shortBox = -32768;
		shortBox = 32767;
		
		// 약+- 21억까지 사용 가능 하다.
		intBox = -2147483648;
		intBox = 2147483647;
		
		// 약 경까지
		longBox = -9223372036854775808L; //숫자 마지막에 L은 접미사라고 합니다.
		longBox = 9223372036854775807L; //int 값이 아니라 long 값이라고 표시하는 용도이다.
		
		// L value = R value
		// 보통 오른쪽에 기술 되는 수의 기본 단위는 4바이트 크기인 int 형으로 먼저 인지한다.
		// 정수형의 기본 연산 단위는 int형 이다.
		
		
	} // end of main

} // end of class

 

 

● 기본 자료형(primitive data type)의 종류

정수 자료형의 종류와 크기

돌아가기

'Java > Java 기초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타입(실수형) - 6  (1) 2024.04.08
데이터 타입(문자형) - 5  (0) 2024.04.08
변수 {연습문제} - 3  (0) 2024.04.08
변수(Variable) - 2  (0) 2024.04.08
Hello World - 1  (0) 2024.04.08